오늘의 HOT 이슈

청년도약계좌에서 청년미래적금으로 갈아탈 수 있을까? 조건과 차이 총정리

discounter-oh 2025. 8. 31. 12:05

새로 시작되는 청년미래적금, 기존 청년도약계좌와의 관계는?


2026년부터 새롭게 도입되는 청년미래적금은 기존 청년도약계좌의 뒤를 잇는 정책성 금융상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청년층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한 취지는 같지만, 세부 조건과 지원 방식에는 차이가 있는데요. 그렇다면 이미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사람도 청년미래적금으로 갈아탈 수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2023년 시작된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34세 청년이 매달 70만 원까지 저축하면 정부가 이자와 기여금을 지원해 최대 5년 후 5천만 원 이상을 모을 수 있게 만든 상품입니다. 하지만 고소득 기준 제한과 복잡한 조건 때문에 아쉬움이 있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청년미래적금이란?

청년미래적금은 2026년 신규 출시되는 제도입니다. 만 19세34세 청년이 대상이며, 연 612% 수준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납입 기간은 3년으로 설정돼 비교적 짧고, 목표 금액은 약 2천만 원 수준으로 도약계좌보다 기간과 금액 모두 현실적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두 제도의 주요 차이점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미래적금

가입 연령 19~34세 19~34세
납입 기간 5년 3년
월 납입 한도 최대 70만 원 월 50만 원 내외
예상 만기 금액 최대 5천만 원대 최대 2천만 원대
지원 방식 정부 기여금 + 이자 지원 고금리 이자 지원 중심

청년도약계좌에서 청년미래적금으로 갈아탈 수 있을까?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즉, 이미 청년도약계좌를 유지하고 있다면 미래적금에 동시에 가입할 수 없습니다. 다만 도약계좌 일몰 이후 신규 청년은 미래적금으로 신청할 수 있고, 기존 가입자는 중도 해지 후 미래적금을 신청하는 방식만 가능합니다.


어떤 상품이 더 유리할까?

목표 금액과 기간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큰 목돈을 장기적으로 마련하고 싶다면 도약계좌가 유리했고, 단기간 현실적인 자금 마련을 원한다면 미래적금이 적합합니다. 특히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 방식이 달라지므로 본인의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입 전 체크해야 할 사항

소득 요건 충족 여부, 정부 기여금 조건, 납입 기간 동안의 안정적 저축 가능성 등을 먼저 따져봐야 합니다. 특히 장기 납입이 부담되는 청년층에게는 미래적금이 훨씬 접근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청년미래적금, 조건비교, 정부지원, 청년금융, 저축상품